본문 바로가기
발달심리학

유아기 심리사회적 발달

by hamamom 2023. 12. 2.
반응형

유아기 심리사회적 발달

유아기의 심리사회적 발달

1) 자아 발달

자아 발달은 유아기 이전부터 발달하기 시작하지만 다른 사람과 사회적 관계를 맺으면서 구체적으로 형성된다.

신피아제 학파들에 의하면 자아 발달은 3단계로 이루어진다.

  • 1단계: 4세경의 유아는 한 가지 차원에서 진술하며 "나는 고양이를 좋아한다."와 같이 특징을 나열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진짜 자아와 이상의 자아가 다르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거짓말을 하기도 한다.
  • 2단계: 5~6세경의 유아는 자아개념을 논리적으로 연결하기 시작한다. 자신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고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식하지 못한다.
  • 3단계: 7세경의 유아는 자신에 대해 통합적이고 구체적인 자아 개념을 갖게 된다.

2) 성격 발달

①Erikson의 심리 사회적 발달 이론

Erikson의 심리 사회적 발달 이론에서 유아기는 2단계 자율성 대 수치 및 의심과 3단계 주도성 대 죄의식에 해당한다.

- 자율성 대 수치심 단계에서 2세의 유아는 신체적 기술이 발달하면서 주위를 활발하게 탐색한다. 그리고 남의 도움을 받지 않고 스스로 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다. 이러한 지속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자율성이 발달하게 되는데 유아가 스스로 할 기회를 주지 않으면 수치심을 가지게 된다.

- 주도성 대 죄의식 단계에서는 유아가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며 도덕성에 대한 개념을 형성하고 새로운 사회적 기술을 배운다. 부모가 유아에게 자유롭게 탐구하고 경험할 수 있는 자유를 주면 아이들은 주도성을 가지게 된다. 만약 유아의 이러한 노력을 부모가 못하게 한다면 혼나고 있다고 느끼기 때문에 죄의식을 가지게 된다.

②Freud의 심리성적 발달 이론

Freud의 심리성적 발달 이론에서 유아기는 항문기와 남근기에 해당한다.

- 항문기는 3세까지로 성적인 욕구가 항문으로 이동하는 시기이며 배설물을 참고 배출하는 데서 쾌감을 느낀다. 배변 훈련을 너무 엄격하게 시키면 결벽증이나 완벽주의자의 성격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적절한 대소변 훈련을 한다면 창의적인 사람으로 성장한다.

- 남근기는 성적인 욕구가 성기에 있는 시기이다. 초자아가 발달하면서 자신에 대해 나쁜 행동을 했을 때는 수치심, 혹은 죄책감을 느낀다. 남자아이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여자아이는 엘렉트라 콤플렉스를 통해서 자신의 성역할을 이해하고 발달시켜 나간다. 

3) 도덕성 발달

도덕성은 유아기에 형성되기 시작하며 성인에 의해 도덕성을 통제하는 단계를 거쳐 자기 경험에 의한 내적 기준에 의해 옳고 그름을 판단한다. Piaget는 사회적 경험과 인지적 성숙이 도덕성을 발달하는 데 중요하며 아동의 도덕성 발달단계를 3단계로 구분하였다. 

전도덕성 단계 (4세까지의 유아이며 인지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아 도덕적인 판단을 할 수 없다) → 타율적 도덕성 단계 (5~6세까지의 유아이며 외부의 규칙에 의해 옳고 그름을 판단한다) → 자율적 도덕성 단계 (7세 이후의 유아는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며 의도를 파악하여 옳고 그름을 판단한다)

4) 성역할 발달 

유아는 일찍부터 성역할의 개념을 지속해서 발달시킨다. 남성과 여성을 구분함으로써 성역할 지식이 늘어나게 되고 점차 동성 친구를 선호하게 된다. 

-4세경의 유아는 색깔을 성에 따라 분류한다.

-5세경의 유아는 성과 관련된 사회적 행동을 하며 여아는 친절하고 싸우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남아는 공격적이고 지배적이다.

-6세 반경의 유아는 반대 성을 가진 친구에 대한 편견을 나타내고 동성 친구와 지내는 시간이 이성 친구보다 현저히 많다.

5) 정서 발달

유아기는 사회적 관계가 넓어지고 다양해지므로 감정 조절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이 자기 행동을 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 부모와의 상호작용은 유아의 정서발달에 매우 중요한데, 주 양육자와 애착 형성이 잘된 유아는 타인의 정서를 잘 이해하고 자신의 감정을 잘 다루게 된다. 그러나 부모에게서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한 유아는 스스로 감정을 억제하는 데 어려움을 가지고 힘든 상황에서 공격적으로 변하거나 화를 낸다. 

6) 부모의 영향 

장난감보다 책이 많은 환경에서 자라면 지적 발달이 잘 이루어지고 흥미로운 환경을 조성하는 부모 아래에서 자란 유아는 사회적으로 성숙한 행동을 한다. 이처럼 유아를 둘러싼 물리적 환경은 유아의 인지 발달에 매우 중요하다. 

  • 권위적인 부모 → 사회적 · 인지적 능력에 맞게 행동하도록 하고 독립심과 결단력을 권장하며 성숙한 행동을 요구한다. 자녀를 엄격하게 통제하고 일관성 있게 지시하며 자녀의 반발을 억제한다. 부모의 말을 따라야 하는 이유를 충분히 설명해 주고 자녀의 의견을 귀를 기울인다. 권위적인 태도를 가진 부모의 유아는 사회적 기술과 인지능력이 높으며 책임감 있고 독립적이며 성취 지향적이다.
  • 독재적인 부모 자녀와 대화하지 않으며 절대적인 기준에 따라서 자녀를 통제한다. 독재적인 태도를 가진 부모의 유아는 예민하고 신경질적이며 사회적 · 인지적 능력이 평균이거나 그 이하로 나타난다.
  • 허용적인 부모  자녀의 행동에 대해 수용적이고 긍정적으로 반응한다. 하고 싶은 대로 다 하게 놔두고 무제한 자유를 준다. 허용적인 태도를 가진 부모의 유아는 충동적이고 자기중심적이며 통제력이 부족하고 성취 수준과 독립심이 낮았다. 
  • 무관심한 부모 → 자녀에게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자유방임적이다. → 무관심한 태도를 가진 부모의 유아는 목표가 없고 자기 통제가 부족하다. 

7) 또래 집단의 영향

유아는 성장하면서 사회적인 범위가 가정에서 또래 집단으로 확대된다. 유아기는 사회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최적의 시기이며 이 시기에 활동은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고 사회성 발달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자유 놀이, 역할 놀이 등 다양한 가상 놀이를 통해 규칙에 대한 개념과 협동심 그리고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도록 배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