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4

동짓날 동지 애동지의 뜻과 팥의 효능 동지란(冬至)? 동지(冬至) 뜻 冬: 겨울 동 至: 이를 지 겨울에 이르렀다는 뜻이다. 24절 후의 하나로 22번째의 절후에 해당한다. 동지 날짜는 양력 12월 21일~22일 무렵에 해당하고 일 년 중에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인 동시에 해가 다시 길어지는 시점이므로 한 해를 다시 시작한다는 의미로 작은 설이라고도 했다. 동지는 동짓달 중 언제에 드는지에 따라 애동지, 중동지, 노동지로 나뉘게 된다. 동지 날짜 애동지(아기 동지)는 음력 11월 초순(초하루~10일)에 드는 동지 중동지는 음력 11월 중순(11일~20일)에 드는 동지 노동지는 음력 11월 하순(21일~말일)에 드는 동지 애동지에는 아이들에게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고 하여 팥죽을 쑤어 먹지 않는 대신에 팥시루떡을 만들어 먹었다. .. 2023. 12. 11.
유아기 심리사회적 발달 유아기의 심리사회적 발달 1) 자아 발달 자아 발달은 유아기 이전부터 발달하기 시작하지만 다른 사람과 사회적 관계를 맺으면서 구체적으로 형성된다. 신피아제 학파들에 의하면 자아 발달은 3단계로 이루어진다. 1단계: 4세경의 유아는 한 가지 차원에서 진술하며 "나는 고양이를 좋아한다."와 같이 특징을 나열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진짜 자아와 이상의 자아가 다르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거짓말을 하기도 한다. 2단계: 5~6세경의 유아는 자아개념을 논리적으로 연결하기 시작한다. 자신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고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식하지 못한다. 3단계: 7세경의 유아는 자신에 대해 통합적이고 구체적인 자아 개념을 갖게 된다. 2) .. 2023. 12. 2.
유아기의 발달 (신체 발달, 인지 발달) 유아기의 발달(2세~6세) 유아기는 언어적,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으로 많은 발달이 이루어진다. 유아는 끊임없이 움직이고 놀이하면서 성장하며 신체적 활동량이 많아지고 호기심도 많아져서 사고가 자주 나는 시기이기도 하다. 주로 집에서 생활하던 영아기와는 달리 활동 영역이나 대인관계가 넓어지고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규칙과 규범을 습득하게 된다. 신체 발달 이 시기의 신체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이 있다. 근력, 키, 골격구조 등은 유전적 요인에 속하며 영양 상태, 정서의 안정, 충분한 수면은 환경적 요인에 해당한다. 1) 나이에 따른 운동 기술 발달 달리기, 자전거 타기, 계단 내려오기 등 대근육의 운동이 가능해지며 영아기 때보다 더 빠르고 높이 뛸 수 있다. 눈과 .. 2023. 12. 1.
영아기의 발달(신체 발달, 심리사회적 발달, 인지 발달) 영아기의 발달 영아기는 말하지 못하는 시기이지만 신체 발달과 성장이 급속하게 일어난다. 생후 24개월까지 짧은 시기이지만 이 시기에 일어나는 발달과 경험은 전 생애에 걸쳐 영향을 준다. 영아기는 신체 성장과 더불어 운동 능력에도 큰 변화가 있으며 뇌와 신경계, 언어 능력에도 큰 발달을 보인다. 신체 발달 1) 신체적 성장 제1 성장 급등기로 급속한 신체 발달과 신경계 발달이 빠르게 이루어진다. 출생 시 영아는 뼈의 수가 성인보다 많지만 성장하면 뼈가 서로 연결되어 그 수가 감소하고 부드럽던 뼈가 단단해진다. 영아가 앉고, 기고, 걷고, 활동을 할 때 뇌에서도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진다. 2) 운동 발달 신생아는 다른 부분에 비해 머리가 트고 목을 가누지 못하지만 생후 12개월이 되면 앉기, 서기, 걷기까지.. 2023. 12. 1.